본문 바로가기
척척박사

전두환 대통령: 업적, 생애, 논란 그리고 역사적 평가

by 척척박사365 2025. 3. 14.
728x90
반응형

서울의 봄으로 더 유명해진 전두환대통령,

업적과 생애, 논란 그리고 역사적 평가는 어떨까요?

전두환의 선서


전두환은 대한민국 현대사에서 가장 논란이 많은 인물 중 한 명입니다. 그는 군사 쿠데타로 권력을 장악하고, 강압적인 독재 정치를 펼쳤으며, 잔혹한 탄압과 부정부패로 얼룩진 통치를 했습니다. 그의 업적이라 불리는 것들조차도 강압적 방식으로 추진되었으며, 많은 희생을 초래했습니다. 오늘은 전두환의 생애, 그가 남긴 흔적, 그리고 역사에 남은 거대한 논란을 낱낱이 파헤쳐 보겠습니다.


반응형

1. 전두환의 생애

군인에서 독재자로...
• 출생: 1931년 1월 18일, 경상남도 합천
• 학력: 대구공고, 육군사관학교 11기 졸업
• 군 경력: 박정희 정권 시절 군 내에서 승진을 거듭하며 핵심 권력자로 성장

전두환은 군인으로서 경력을 쌓았고, 박정희 정권 아래에서 권력의 중심으로 다가갔습니다. 특히 1979년 10·26 사건 이후 정권이 흔들리자, 이를 기회 삼아 군사반란을 일으켜 권력을 장악했습니다.


전두환의 결재

2. 전두환의 권력 장악 과정

① 12·12 군사반란 – 불법적인 권력 찬탈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이 암살되면서 대한민국은 혼란에 빠졌습니다. 이 틈을 노려 전두환은 1979년 12월 12일 군사반란을 일으켜 군부를 장악했습니다.


• 당시 대통령 권한대행이었던 최규하와 국무총리는 아무런 힘을 쓰지 못했습니다.
• 합법적 절차를 무시하고 군사력을 이용해 사실상 쿠데타를 일으킨 것입니다.

② 5·17 비상계엄 확대 – 민주주의의 완전한 말살
1980년 5월 17일, 전두환은 전국에 계엄령을 선포하며 모든 정치 활동을 금지했습니다.


• 국회를 강제 해산하고, 야당 정치인과 민주화 운동가들을 대거 체포했습니다.
• 대한민국 역사에서 가장 암울한 독재 정권의 서막이 열린 순간이었습니다.

728x90


③ 5·18 광주 민주화운동 – 잔혹한 학살
전두환 정권에서 가장 악명 높은 사건은 바로 5·18 광주 민주화운동입니다.


• 1980년 5월, 광주 시민들은 군사 독재에 저항하며 민주화를 요구했습니다.
• 이에 대해 신군부는 군을 동원해 무차별적인 학살을 감행했습니다.
• 시민군이 저항했지만, 중무장한 계엄군 앞에서 무차별적인 폭력이 자행되었습니다.
• 수많은 민간인이 사망했으며, 이후에도 광주 시민들은 장기간 탄압을 받았습니다.
• 이후 전두환은 광주 사건을 북한의 사주라고 거짓 선동하며 학살을 정당화했습니다.


3. 전두환 정권의 정책과 강압적인 통치

① 삼청교육대 – 국가폭력의 상징
• 전두환 정권은 범죄 예방을 명목으로 삼청교육대를 운영했습니다.
• 그러나 실제로는 정권에 반대하는 사람들을 강제로 수용하고, 비인간적인 폭력을 행사하는 수단이었습니다.
• 수많은 시민들이 억울하게 잡혀가 고문과 폭행을 당했고, 사망자도 발생했습니다.

② 언론 통제와 민주주의 말살
• 언론사를 강제로 통폐합하고 정권에 반하는 보도를 금지했습니다.
• 국가보안법을 이용해 반대 세력을 철저히 탄압하며 독재 정권을 유지했습니다.

③ 경제 정책 – 강압적인 성장 전략
• 3저 호황(저유가, 저달러, 저금리) 덕분에 경제성장을 이루었지만, 이는 그의 능력 때문이 아니었습니다.
• 노동자를 강제로 동원하고 임금 억제를 통해 기업들의 배만 불리는 정책을 펼쳤습니다.
• 정경유착이 심화되며 대기업 중심의 경제 구조가 더욱 고착되었습니다.


전두환 기자회견

4. 부정부패와 권력 남용

① 측근들의 부패와 비리
• 정권 내내 군부와 측근들의 부정부패가 심각했습니다.
• 권력을 이용해 기업들에게 막대한 뇌물을 요구하고, 친인척 비리를 눈감아 주었습니다.

② 비자금 29만 억 원 – 끝없는 탐욕
• 전두환은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29만 억 원에 달하는 비자금을 조성했습니다.
• 퇴임 후에도 이를 반환하지 않고, 사저에서 호화로운 생활을 유지했습니다.

③ “내가 모른다” – 사죄 없는 태도
• 퇴임 후 내란 및 군사반란 혐의로 기소되었지만, 법정에서 계속해서 “나는 모른다”는 태도로 일관했습니다.
• 5·18 희생자들에게 단 한 번도 제대로 된 사과를 하지 않았으며, 사망 직전까지 자신의 범죄를 부정했습니다.


5. 퇴임 후와 최후

① 국민의 저항과 6월 민주항쟁
• 1987년, 국민들은 전두환의 후계자 노태우의 간선제 대통령 선출을 반대하며 거대한 민주화운동을 일으켰습니다.
• 결국 6월 민주항쟁을 통해 직선제가 도입되었고, 독재 체제는 종말을 맞았습니다.

② 구속과 형량, 그리고 사면
• 1996년, 반란수괴 및 내란 혐의로 무기징역을 선고받았지만, 1997년 김영삼 정권에서 특별 사면되었습니다.

③ 끝까지 사과 없는 태도
• 전두환은 말년까지 골프를 치며 호화롭게 살았으며, 5·18 희생자들에게 사과하지 않았습니다.
• “나는 광주 학살과 무관하다”는 망언을 하며 국민들의 분노를 샀습니다.

④ 사망과 역사적 평가
• 2021년 11월 23일, 90세의 나이로 사망했습니다.
• 그러나 국립묘지 안장이 불허되었고, 그의 장례는 초라하게 치러졌습니다.
• 죽음 이후에도 국민들은 그의 행적을 규탄하며 역사적 심판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6. 전두환에 대한 역사적 평가


✅ 긍정적 평가
• 3저 호황을 활용한 경제 성장 (그러나 전두환의 공로라고 보기 어려움)
• 서울올림픽 유치 (준비는 노태우 정권에서 진행됨)

❌ 부정적 평가 
• 군사 쿠데타와 5·18 민주화운동 학살
• 철저한 독재와 언론 통제
• 삼청교육대 운영으로 국가폭력 행사
• 측근들의 부패와 비리 방관
• 막대한 비자금 조성 후 반환 거부
• 퇴임 후에도 반성 없는 태도

전두환은 대한민국 역사에서 가장 어두운 페이지를 장식한 인물 중 하나입니다. 그의 독재와 폭압, 그리고 민주주의 탄압은 결코 정당화될 수 없습니다. 전두환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댓글로 의견을 남겨주세요! : )

728x90
반응형